QGIS7 QGIS를 이용한 공간분석 _ 3(속성에 의한 결합, 공간에 의한 결합) 서울으로 올라가는 KTX에서 처음으로 글이라는 것을 써보는 것 같다. 서울을 오가며 항상 드라마나 유튜브 보는 시간이 대부분이였지만 오늘은 블로그를 작성해 보려고 한다. 정말 어색하지만 나를 위한 시간 투자를 해보도록 하겠다. 금일 학습 내용은 속성에 의한 결합과 공간에 의한 결합이다. QGIS에 csv파일을 넣는 방법부터 시작하여 공통된 필드에 따른 파일 결합과 공간 객체인 포인트, 라인, 폴리곤의 결합에 대해 다루어 보겠다. 1. 데이터 결합 이론 데이터 결합은 속성에 의한 결합과 공간에 의한 결합 두 가지로 구분된다. 속성에 의한 결합(Join)은 GIS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 서로 다른 테이블을 하나의 테이블로 결합하는 과정으로 서로 다른 테이블에 존재하는 공통.. 2021. 7. 24. QGIS를 이용한 공간분석 _ 2(벡터 데이터 자르기와 붙이기, 객체 이동, 속성 질의, 공간 질의) 어제 학습한 내용이자만 처음 블로그를 작성하다보니 신경을 많이 썼나 보다.. 눈 감자마자 잠에 들었다 긍정적으로 오늘 한번 다시 보면서 복습삼아 살펴보도록 하겠다. 벡터 데이터를 자르고 붙이는 방법, 객체의 이동, 변형, 회전 그리고 인접 객체 제작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속성 질의와 공간 질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라인 아래의 예시에서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라인을 분할하고자 한다. 라인 객체를 선택하고 피처 분할로 라인 객체의 자르고 싶은 부분을 긋는다. 그은 후 마우스 우클릭으로 속성 테이블을 수동/자동으로 업데이트 한다. 이때, 주의해야할 점이 몇 가지 있다. 객체를 자르더라도 속성 정보는 변하지 않는다. 즉, 업데이트(갱신)는 따로 해 주어.. 2021. 7. 22. QGIS를 이용한 공간 분석 _ 1 오늘 하루도 9시에 앉아 자판을 두드리며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시각화는 뗄 수 없는 존재이다. 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인 Q-GIS는 공간 분석 Tool이다. 공간 분석, 공간 시각화에 대해서는 처음 접해보는 내용으로 개념 학습과 프로그램 구동 과정에 집중을 하고자 한다. 공간 데이터에는 벡터와 레스터가 있다. 벡터란 불연속 데이터로 점, 선, 면의 형태로 된 데이터이다. 레스터란 픽셀로 구성된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로 분석에 사용하는 경우 적절한 해상도를 선택해야 긴 런타임을 방지할 수 있다. 공간 분석에는 공간 밀도, 공간 분포 패턴, 공간적 자기 상관이 있다. 공간 밀도란 한정된 공간 내에서 특정 사상이나 사건이 분포한 경우, 특정 물질의 양이나 빈도수를 한정된 공간의 크.. 2021. 7.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