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8대 공정

Etch - 식각 공정

by jun_code 2024. 11. 13.

Etch 공정

정의

  • 패턴이 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포토 공정에 따라 감광액 없는 부분의 산화막을 깍아낸다)
  • 식각 -> Ashing(PR 제거)

종류

  • Wet Etch
  • Dry Etch
  • Chemical Etch : 라디칼에 의한 식각(등방성)
  • Physical Etch : 이온의 웨이퍼 충돌(이방성) => 물리적 손상이 있고 선택비가 낮다
  • Reactive Etch : Chemical + Physical

Wet Etch

  • 장점 : 하부막질의 손상이 적다, Polymer 오염이 적다
  • 단점 : 미세패턴 조절이 어렵다, Etching 시간 조절이 어렵다

특징

  • 박막 성질에 따라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웨이퍼를 화학약품이 들어있는 Bath에 넣는다
  • Wet Etch는 등방성 식각(Isotropic)으로 미세 패턴 공정에 적합하지 않다 => 세정(Cleaning) 공정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
    • 등방성 식각 : 아래로도 Etch되고 Side Etch도 되므로 Step Coverage에 좋다
  • 순서 : 확산 -> 흡착 -> 반응 및 생성 -> 탈착 -> 확산

Dry Etch

  • 장점 : 미세패턴 조절이 가능하다, Etching End Time 조절이 가능하다(EPD), 파라미터 조절이 용이하다
  • 단점 : 막질 손상 가능성이 있다, Polymer가 오염될 수 있다

특징

  • 반응성 Gas를 진공 Chamber에 주입하고 Power를 인가하여 Plasma를 만들어 화학적/물리적 Etch를 하는 공정
    • Gas 종류 : 산화막이면 C-F(탄소불소) gas를 사용하고, Metal 박막에는 Cl(염기성) gas를 이용함
  • Etch나 Implant 공정 후에 Dry Ashing(PR 제거)하는 공정이 있다
  • 이방성 식각(Anisotropic)으로 Side Etch가 적다
  • 가스 플라즈마는 전기장을 통해 확산 방향을 지정할 수 있어 미세 패턴에 적합하다

Plasma

정의와 원리

  • 전자, (+)이온, 중성입자(라디칼)이 전기적으로 유지되는 중성상태 물질
  • 진공 Chamber 내에 반응성 gas 주입 -> 교류 전압 인가 -> 전압에 의해 전자 발생 -> gas와 전자의 충돌로 gas 이온화 -> 이온화된 gas(전계방향으로 이동)와 라디칼(무질서한 방향)이 웨이퍼에 충돌하여 Etch

 

기타

정의

  • Uniformity(균일도) : 위치별로 얼마나 일정하게 식각이 되었는가(낮을수록 좋다)
  • 선택비  : 두 막질 사이의 식각 비율

'반도체 > 8대 공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P  (0) 2024.11.16
Cleaning  (0) 2024.11.16
Ion Implant & Deposition - 이온 주입 & 증착 공정  (0) 2024.11.16
Furnace - 산화 / 확산 공정  (0) 2024.11.14
Photo - 포토 공정  (0)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