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CO 모듈 이론

3-2. 계획/실제 배분 사이클

jun_code 2023. 3. 29. 13:22

  • 집계한 비용 중 공통 및 간접 Cost Center의 비용은 재전기(Reposting) / 배분(Distribution, 1차 배부) /  평가(Assessment, 2차 배부) 기능을 이용하여 생산 직접 Cost Center로 배부함
  • 생산 직접 Cost Center에 집계 또는 배부된 비용을 제품별 작업 및 기계시간(Activity Type)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생산직접 Cost Center의 비용을 제품별로 배부함

Reposting(재전기) / Distribution(배분) / Assessment(평가)

  • Period Reposting : 엄밀히 말하면 배부는 아님(단, 1차 원가요소 배부)
    • 배부라기보다는 차대를 맞추지 않고 해당 금액을 날리고 귀속처에 전달하는 것
    • Reposting in SAP : used to rectify incorrect postings(오류난 전표 수정)
    • Cost Object에서 이전되어 다른 Cost Object로 수집되는 비용
  • Distribution : 1차 배부의 개념(1차 원가요소 배부)
    • 차대를 맞추어 귀속처에 전달하는 것
    • 하나의 Cost Object에서 다른 Cost Object로 1차 원가요소를 할당하는 비즈니스 트랜잭션
    • 계정으로 배부가 되며 계정이 바뀌진 않음
    • 같은 계정이 CCA 배부에서는 코스트센터를 기점으로, PCA에서는 손익센터로 배부되기 때문에 계정은 바뀌지 않고 기능영역은 바뀔 수 있음
  • Assessment : 1차/2차 원가요소를 이용하여 배부되는 것
    • 1차 원가요소와 2차 원가요소를 코스트센터 회계에 할당하는 것
    • 계정 대체가 일어남
    • 사용되는 2차계정의 경우 일반적인 G/L계정과는 다른 계정을 사용
  • 1차 배부와 2차 배부의 차이
    • 1차 배부(distribution)에서는 배부시 계정이 바뀌지 않고 센더와 같은 계정에만 배부
    • 2차 배부는 센더와 리시버의 계정이 서로 다름에도 배부가 가능

계획 배분 사이클

  • 배분 사이클은 센더 비용을 차변에서 대변으로 반대 분개한 뒤 리시버의 차변으로 1차 원가요소를 사용하여 배분
    • 분개 : 거래가 발생하면 계정에 기입하기 전에 차변요소와 대변요소를 구분하여 다음 사항을 결정할 때의 절차 => 차변에는 무엇이, 대변에는 무엇이 들어갈지 결정하는 것
    • 대변 : Credit, 빌려준다, 왼쪽
    • 차변 : Debit, 빚지다, 오른쪽
  • 배분 사이클은 주로 공통비 부서의 비용을 배부할 때 사용하고 1차 배부라고도 함
    • 공통비
  • 배분 시 1차 원가요소가 유지되며 비용을 차변에서 대변으로 반대 분개하고 리시버 코스트센터의 차변으로 배분함

 

계획 배분 사이클 탭

  • 세그먼트 헤더 탭
    • 리시버 규칙 : '변동 부분'을 선택하면 조건에 따라 배부비율이 바뀌는 유형을 의미함
    • 변동부분 유형 : '계획 원가'를 선택하면 리시버 코스트센터의 계획 원가 비율만큼 나눠서 배분됨
      • 계획 원가 비율 : 
    • 스케일 음수값 추적요인 : 센더 금액이 음수일 때 배부를 할 것인지 선택하는 옵션으로 '스케일링 없음'은 마이너스 값을 그대로 배부하는 옵션

T-CODE : KSV9(계획 배분 사이클 조회)

  • 센더/리시버 탭
    • 코스트센터 2114에서 원가요소 5334140에 발생한 비용을 2115 코스트센터로 배분함

T-CODE : KSV9(계획 배분 사이클 조회)

 

실제 배분 사이클 탭

  • 세그먼트 헤더 탭
    • 계획 배분 사이클과 동일한 조건으로 만들어짐
    • 실제 비용을 배부하는 것으로 '실제값'에 체크

T-CODE : KSV3(실제 배분 사이클 조회)

계획/실제 배분 사이클 실습

  • T-CODE : KSV9
    • 리시버가 여러 개일 때, 현재 리시버에 기표된 계획 원가의 비율대로 센더 비용이 나눠져서 배부된다는 의미

  • T-CODE : S_ALR_87013611 에서 코스트센터 레포트에서 2114 코스트센터에 기표된 것을 확인

  • T-CODE : KSVB 에서 계획 배부 실행
  • T-CODE : S_ALR_87013611 에서 2114, 2115 배부 후 결과 조회


계획 배분 사례

  • T-CODE : KSV9(조회), KSV7(생성), KSVB, S_ALR_87013611

코스트센터 실제/계획/차이 조회

계획 배분 사이클 생성(T-CODE : KSV7)

계획 배분 사이클 실행(T-CODE : KSVB)


계획 1차 배부 사이클 사례

더보기

※ 참고 : 2-11. [SAP CO] 계획 1차 배부(Plan Distribution, 배분) 실행 (tistory.com)

위 블로그의 사례를 그대로 참고하였음

배부 사이클 시나리오 예시

  • 총무팀, 영선반, 경비팀에서 8월 단체 회식 예산 1,000,000원을 계획
  • 대표로 식당팀의 경비 계획을 수립함 => T-CODE : KP06(원가요소 계획)에서 식당 코스트센터에 원가요소 0300으로 8월 1,000,000원을 입력
  • 통계주요지표 계획을 인원수로 수립 => T-CODE : KP46(통계주요지표 계획)에서 총무팀, 영선반, 경비팀에 인원을 각각 10, 15, 25 입력
  • CO에서 팀별 계획 비용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 식당 식대를 3개의 각 팀에 배부하고자 함
    • 센더 : 식당 코스트센터
    • 배부할 원가요소 : 0300(식당 운영비)
    • 리시버 코스트센터 : 총무팀, 영선반, 경비팀 코스트센터
    • 배부기준 : 인원(통계주요지표 : PQ)

1. 배부 전 각 코스트센터 비용 계획 확인

  • T-CODE : S_ALR_87013611
    • T-CODE : KP06에서 식당 코스트센터의 계획 비용을 반영(입력)
    • 현재 식당 코스트센터의 계획비용만 입력하여 총무/영선/경비 코스트센터에는 계획 비용이 0원

센더 코스트센터 계획 원가 확인

2. 배부전 통계주요지표 확인

  • T-CODE : S_ALR_87013618
    • T-CODE : KP46을 통해 총무팀/영선반/경비 코스트센터에 계획 인원을 입력함
    • 계획인원 15/10/25의 비율에 맞게 1,000,000원이 각각의 코스트센터에 배부됨
      • 예상) 300,000 / 200,000 / 500,000원이 각 코스트센터에 배부될 것임

 

  • T-CODE : KP46에서 통계주요지표 계획 변경이 가능함
    • 예시) T-CODE : KP46에서 B11601 코스트센터에 C170 통계주요지표에 대해 10을 입력한 경우 계획 부분에 입력값이 들어감

3. 계획 1차 배부 사이클 실행

  • T-CODE : KSVB
    • 사전에 생성한 배부 사이클을 선택하고 실행
    • 예시) 배부 사이클 예시
      • 센더 : 식당 코스트센터
      • 리시버 : 총무팀, 영선반, 경비 코스트센터의 그룹을 생성하여 입력
      • 리시버 추적요인 : 변동부분 > 계획 통계주요지표
      • 배부기준 : 통계주요지표 PQ(인원수)
    • 발생하는 문제
      • 문제 : 동일한 코스트센터의 동일한 계정(원가요소)를 2군데 세그먼트에서 배부하는 경우 센더 금액이 100%를 넘게 되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
      • 해결 : 각 세그먼트의 센더 금액을 50/50으로 조정하거나 문제가 발생한 코스트센터의 센더 코스트센터나 원가요소를 조정함
  • 계획비용 전체를 식당 코스트센터에서 사용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코스트센터에 비율에 따른 금액이 배부됨
    • 배부 사이클 수행 이후 식당  코스트센터의 차변에 100만원, 대변에 -100만원이 발생함
    • 영선반의 경우 15명이므로 30만원이 차변에 추가(배부)됨

배부 결과 조회

 

Q. 계획/실제 재전기의 경우 센더 차변에서 리시버 차변으로 바로 이동하는데 왜 배분의 경우 센더 차변에서 대변으로 역분개하고 리시버의 차변으로 값이 이동하는 것일까?

 

Q. 리시버의 1차 원가요소로 배분하는데 그럼 센더에서 배분하고자 하는 원가요소가 동일하게 리시버에서도 있어야 배분이 이루어지는가?

 

Q. 평가 사이클은 1차 원가요소를 설정한 하나의 2차 원가요소로 합쳐 배분하는데 이것과 차이나는 것은 단순히 2차원가요소로 배분하는 것과 합쳐서 배분하는것?

 

Q. 배분 시에 리시버 코스트센터에 해당 원가요소가 있어야(S_ALR_87013611에서 조회시) 가능한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