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자기소개서

필살기 문항 작성 : 직무와 연관된 성공 경험

by jun_code 2022. 3. 17.

□ 필살기 문항

    ○ 필살기 = 유사경험 + 성공경험 + 인사이트

        - 필살기가 필요한 이유? => '당신을 왜 뽑아야 하는가?' 질문에 깔끔하게 답변이 가능함

            · 필살기 관련 답변을 잘하면 꼬리 질문이 많아지지 않는다 => 어떤 사람이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잘 말하기

        - 필살기를 3~5개 준비한다 => 1~2개는 자기소개서에 작성하고 면접에서 나머지 필살기를 사용

            · 면접에서 자기소개서에 작성한 경험에 대한 질문이면 땡큐~

 

□ 필살기 구조

    ○ 유사 경험

        - 지원하는 직무나 산업의 고객을 만나 보았는가 / 현직자를 만나 보았는가 / 프로젝트를 해 보았는가

            · 유사 경험을 어깨 너머로 보았더라도 산업을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점

        - 고객에 대한 관찰 경험 => 현직자들의 일하는 모습 / 오가는 대화 의 관찰 기록

        - 교육에서는 현직자에게 항상 '왜 그렇게 해야하나'의 질문을 던지고 기록하라

        - 유사경험 = 업무 관찰 기록 + 나의 생각 가미 => 쉽게 일에 적응할 수 있고 전투력 발휘가 가능함

            · 회사에 와서 빨리 적응하고 일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면접관도 이를 선호하여 유사경험이 있으면 무조건 좋음

    ○ 성공 경험

        - 내가 개입하여 Before와 After가 명확히 변화한 것 / 수치 변화가 분명한 것 / 무에서 유로 만든 것 / 경쟁 우위에 있던 것을 인증할 수 있는 것(수상내역 등)

            · 

        - 한 분야에서 성공하면 다른 영역에서도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이론이 있음(면접관 마인드)

        - 구조화된 면접에서 핵심 = 성과를 재생산할 수 있는 사람을 뽑을 것임

            · 저는 어떤 일을 맡겨주어도 성과를 낼 수 있다. 유사 직종에서 성과를 낸 적이 있다. 집념이 있다.

        - 성공 경험 = 수치화 된 나랑 비슷한 조건의 다른 사람보다 조금 우위에 있는 영역의 경험

 

※ 성공경험 만들기

1. 직무와 유사한 경험 만들기

    =>수치화 된 목표를 먼저 세우기

2. AAR : after, action, review

    => 얻고자 하는 것, 얻은 것, 차이와 원인, 계속할 것, 버릴 것

3. 어떻게 이 직무에서의 성공 경험을 재생산할 것인가의 관점

    => 계속해야 할 것과 버려야할 것의 결론은 이 직무를 더 잘 수행하기 위해 내 역량을 강화하는 것

    ○ 인사이트

        - 성공의 원리 => 유사 경험과 성공 경험에 따라 회사 업무에도 성공할 수 있다

            · 성공 경험을 음미하고 경험을 해석하고 다음 업무를 이해하고 성과에서도 성공을 할 수 있다

        - 인사이트의 필요성 : 나름의 철학과 생각을 가지고 해당 업무를 수행했다(사업 통찰력)을 보여준다

        - 회사 업무의 성공 / 실패의 교훈 / 구루(해당 분야에 성공한 사람)의 인사이트

            · 각 영역에서는 구루가 있는데 그들의 논문, 아티클, 책을 읽고 학습하고 나의 경험을 해석해라 => 구루의 해석으로 내 경험을 고도화 시키기(포장)

            · 구루의 내 경험을 해석할 수 있는 요소 인용 + 나만의 깨달음

 

□ 필살기를 자기소개서와 면접에 녹이는 방법 

    ○ WHAT -> WHY -> HOW 순서로 재배열 (두괄식)

        - 유경험자 : 뚜렷한 성공 경험을 가진 사람 => 강점을 가진 경험의 재해석 + 수치화 + 두괄식

    ○ 3C / 4P경험을 재해석하라

        - Product (결과물)중심으로 두괄식으로 쓰고(WHAT) -> 3C(Why) -> 4P(Price, Place, Promotion)(HOW)

    ○ 3C : 고객, 자사, 경쟁사 => WHY, 경험의 배경을 구성할 때 사용

        - 면접관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 => 그것을 왜 했고 어떻게 했는가

        - 고객 : 내가 경험을 통해 만족시키고자 한 대상(프로젝트 = 고객, 학교 = 교수)

        - 자사 : 나, 나의 조직 상황을 적어 내가 당면한 도전 과제와 해결해야할 문제에 집중

            · ex) 고객의 요청은 ~~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를 해결하기 위해 ~~를 도전하고 ~~ 역량이 필요했다. ~~ 경험이 필요했다

            · 조직의 큰 그림과 최종 목표를 포함해야 한다 => 내가 속한 연구실애서 무엇을 해결해야 조직이 유익해지는가, 나의 기여와 공헌은 무엇인가?

        - 경쟁사 : 나보다 앞서 하고 있는 곳, 나보다 잘하는 시장을 조사하고 무엇을 따라할지 참고 했는가

            · ex) 시장 조사 내용으로 상황을 설명 –> 업계 1나보다 잘한 케이스(Best Practice, Reverse Engineering)

    ○ 4P : 제품, 가격, 위치, 마케팅 / 3C로 분석한 경험을 WHAT, HOW로 사용(1~3줄)

        - Product : 상품, 연구주제, 서비스, 마케팅 기획안에서의 목표를 이루었는가!!

            · 결과물이 나왔는지 경험의 재구성이 필요 => 결과를 모르면 연락해서라도 알아내라

            · 결과가 개선되도록 한 나의 행동과 요인을 수치로 작성

        - Price : 제공한 서비스, 상품 등을 고객이 만족했는가

            · 재구매율이나 만족도를 수치로 작성

            · 뚜렷한 만족도가 없으면 학점을 적어야..

        - Place : 선정한 이유? => 고객이 모여있는 곳, 저렴한 비용, 타겟집단이 모여있는 곳이라 선정

            · 실제로 작성하기 어려우면 Pass

        - Promotion : 조회수, 참석자수 등 알린 방향

            · 반드시 Before After의 차이를 보여주어야 함